반응형
젊음은 옛말? 20대 '대사증후군' 급증, 당신의 식습관은 안녕하십니까?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무심코 집어 드는 달콤한 간식, 짭짤한 과자... 현대인의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간식들이 우리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젊은 층에서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급증하며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습니다.
20대, 더 이상 젊지 않다? 대사증후군 환자 폭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대 대사증후군 환자 수는 2018년 약 10만 5천 명에서 2022년 약 15만 5천 명으로 무려 47.7%나 증가했습니다. 이는 20대 청춘들이 더 이상 건강을 안심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음을 보여주는 충격적인 결과입니다.
원인은 '달콤한 유혹'과 '불균형한 식습관'
의학박사 박민수는 신간 '과속 노화의 종말'에서 정제 탄수화물과 당에 찌든 현대인의 식생활이 초래하는 위험을 경고합니다. 수면 부족, 과로, 스트레스, 운동 부족, 과식, 비만, 고혈당 음식 위주의 식생활은 혈당 조절 기능을 망가뜨리고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특히 한국인은 서양인보다 췌장 기능이 약해 혈당 처리에 더욱 취약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양 불균형적인 식습관이 젊은 층에 확산하며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건강한 식습관, 노화 속도를 늦추는 지름길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건강을 지킬 수 있을까요? 박민수 박사는 다음과 같은 식습관을 제안합니다.
- 삶고, 데치고, 생으로 먹는 건강한 조리법: 높은 온도에서 굽거나 튀기는 대신 삶거나 데치는 방식으로 조리하고, 가능하면 생으로 섭취하여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하고 암 발생 위험을 낮춥니다.
- 녹황색 채소의 힘: 항산화 성분, 비타민, 미네랄, 효소가 풍부한 녹황색 채소는 세포를 보호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합니다. 또한, 식이섬유는 장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 과일, 현명하게 섭취하기: 비타민, 미네랄, 항산화 물질,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은 건강에 유익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스 형태의 과일 섭취는 혈당 스파이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지금 당장, 당신의 식습관을 점검하세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무심코 집어 들었던 간식이 당신의 건강을 해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오늘부터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하여 젊음과 건강을 동시에 지키세요!
반응형